티스토리 뷰
계육은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녹나무과의 상록 교목으로 나무 껍질 (계피) · 싹 혹은 그 가지 끝(계지)을 사용합니다. 나무에 해열 발한 작용이 있습니다.
대뇌의 지각 중추에 작용하여 진통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머리의 혈관 경련으로 인한 두통이나 내장 평활근 경련 통증을 완해하여 두통이나 복통을 완화합니다.
방향성 건위 작용으로 장내 가스를 제거 하는 작용과 타액과 위액의 분비를 촉진해 소화를 돕고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중요한 생약의 하나로 많은 처방에 배합되어 사용됩니다.
계지탕은 허약한 사람으로 열과 오한이 동시에 있고, 땀이 많이 나는 사람에게 사용합니다. 계피는 중국 고전의 의약집 '신농본 초경' 에 기재되어있는 생약입니다.
아랫배 냉증이나 수족냉증의 치료에 효능이 좋고, 손발바닥에 땀이 많은 다한증 치료에도 뛰어난 약재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속을 따듯하게 하고, 간이나 폐의 기를 고르게 하며,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곽란으로 쥐가 나는 것을 낫게 한다. 온갖 약기운을 고루 잘 퍼지게 하면서도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유산이 가능한 약재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계피의 효과 효능
해열, 피부 혈관을 확장하고 혈액 순환을 조절하고 혈액 순환을 체표에 돌려 열 발산과 땀에 유효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근육과 관절이 저리는 통증을 멈추고 근육의 긴장을 풀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킵니다.
혈액 순환 기능을 촉진하고 땀과 이뇨 작용을 강화함으로써 체액 정체를 완화하고 몸의 체액 대사를 촉진합니다.
계피의 이용법
사용량은 1 일 3 ~ 9g입니다. 해열에서는 일반적으로 6g, 관절통에서는 비교적 양이 많고, 때로는 30 ~ 45g 사용합니다. 주의 할점은 다량으로 복용하지 말라 것입니다.
계피차는 자양강장, 흥분,, 해열, 진통, 발한, 건위 정강의 효능이 있으며, 특히 몸이 허하고 추위를 탈때 땀을 내주는 효과가 있고 생강계피차는 허약체질로 추위를 많이 타는 사람, 겨울철 감기 기운, 몸에 오한이 날 때 끓여 마십니다. 구역질이 나거나 입맛이 변했을 때도 좋습니다
계피의 부작용
일반적인 용량 이상으로 과다 섭취시에는 와파린과 유사한 항응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임신부는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맥이 빠르거나 맥이 강한 사람은 맥박수가 더 빨라지며, 피부에 반점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