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원인 


넘어지면서 손이나 팔꿈치 또는 어깨를 바닥에 부딪힐 때 그 충격에 의한 외력이 쇄골에 전해져 발생합니다. 쇄골은 직접 타박상으로 골절을 일으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소아의 어깨 주변의 골절의 80 %를 차지하며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



자동차 충돌 사고시 운전대에 가슴 부위가 부딪히면서 발생하기도 하고. 영아의 경우 출산 중 손상으로 골절되기도 합니다.쇄골은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긴뼈로  빗장뼈라고도 하며 팔을 몸통에 고정시켜줍니다


간과하기 쉬운 외상과 합병 손상


유아는 뼈가 두꺼운 골막에 싸여 있기 때문에 뼈의 연속성이 완전히 끊어 지지 않은 부전 골절 (이른바 '균열')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경우 증상이 적고, X 선 사진에서 골절 선이 명확하지 않지만 며칠 후 X 선 재검사를 실시하면 골절 선이 분명합니다.  초등학생은 교통 사고 등으로 큰 외력을 받은 경우에는 신경과 혈관의 손상을 합병 할 수 있습니다.


증상


골절은 대부분이 쇄골의 중앙 3 분의 1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골절되면 몸의 중앙 가까이의 근위 골편은 위쪽으로 ,어깨 쪽의 말초 뼈 조각은 아래쪽에 어긋납니다. 



쇄골 정상의 부조가 변형되고, 두 뼛조각은 겹쳐져 1~2cm 길이가 단축되고 어깨가 좁아집니다. 골절 부위에 피하 출혈과 붓기, 통증이 생기고 팔과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이 강해집니다.


검사 및 진단


X 선 검사가 필요합니다. 외상의 병력과 쇄골 부분의 변형, 통증, 붓기, 피하 출혈, 압통, 골절 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 등의 증상과 X 선 사진으로 진단이 용이합니다.


치료 방법


보존 치료가 원칙입니다. 환자를 의자에 앉혀 가능한 가슴을 뒤로 젖혀 겹쳐지고 단축된 골편을 맞춥합니다. 이어 붕대를  8 자 고정법과 전용 쇄골 밴드 등으로 고정합니다. 


골절부위가  유합이 안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 개방성 골절,신경 및 혈관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 치료가 시행 될 수 있으며 이 때 골절 부위의 고정을 위해서 금속 핀이나 나사, 금속판 등이 이용됩니다.


쇄골 골절은 대부분 6개월 내에 완전하게 유합되며  골절 부위가 골 유합 후에도 툭 튀어나와 보일 수 있지만 어린 환자들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튀어나온 정도가 줄어듭니다.


고정 기간은 유아가 2 ~ 3 주 초 중학생은 4-6 주 정도  저 연령 아동 일 수록 짧습니다.  성인은 6-8주 고정합니다. 이후 어깨 관절의  재활치료를 합니다. 


응급 처치는 어떻게 할까


팔과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이 강해지 때문에, 삼각건 등으로 팔을 몸통에 고정합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